안드로이드 4대 컴포넌트
Activity, Service, Broadcast Receiver, Content Provider
# 컴포넌트란?
앱의 최소단위로 이걸 구성해서 하나의 앱을 만든다
Service는 포그라운드 서비스, 백그라운드 서비스 , 바운드 서비스 로 나뉘어져 있음
Activity, fragment 차이점
프래그먼트는 한 액티비티 안에 종속되어있기 때문에 용량을 적게 차지한다.
하지만 액티비티는 독립적인 속성을 가진다.
Intent
인텐트는 컴포넌트 간에 정보를 주고담을 수 있는 메세지 객체이다.
PendingIntent는 intent를 가지고 있는 클래스로, 기본 목적은 다른 애플리케이션(다른 프로세스)의 권한을 허가하여 가지고 있는 Intent를 마치 본인 앱의 프로세스에서 실행하는 것처럼 사용하는 것이다.
Thread vs Service
Thread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실행하는 것 foreground에 적합
Service 사용자에게 작업처리 요청이 없어도 계속 실행되어야 하는 background에 적합
Intent vs Bundle
Intent 는 값을 전달하기 위한 객체
Bundle은 값을 저장하기 위한 객체
Manifest
안드로이드에 필수적이며, android 시스템이 알아야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곳
vector vs Bitmap
vector 는 이미지 변환이 자유롭고 크기 변환도 자유롭지만
Bitmap 은 자유롭지 않음
Gradle
오픈소스 자동화 도구
Kotlin Scope Function
also : 자기 자신이 필요한데, 초기화를 좀 더 쉽게(수신 객체를 사용하지 않거나, 수신객체의 속성을 변경하지 않고 사용할 때)
run : 객체의 값의 접근을 쉽게할 때
let : 객체의 값이 명확해야 할 때
with : (생성과 동시에 초기화, null이 될수없는) 결과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
apply : 생성과 동시에 초기화 하고 자기자신을 return
참고 : 막무가내 삽질 블로그
'앱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면접, 신입 개발 지원 질문 리스트 정리 (0) | 2022.08.07 |
---|---|
맥북 m1 pro 칩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자바 설치 및 환경변수 (0) | 2022.05.30 |